본문 바로가기
이슈&정보

부모님이 치매 걸렸을 때 바로 해야 할 것?

by 친절한 곰선생 2025. 3. 26.
반응형

🧠 부모님이 치매 걸렸을 때 바로 해야 할 것?

부모님의 말씀이 반복되거나 자주 물건을 잃어버리고, 갑자기 성격이 달라진 듯한 느낌이 들 때…
혹시나 하는 마음에 ‘치매가 아닐까?’ 생각해보신 적 있으신가요?

그 걱정이 현실이 되었을 때, 가장 먼저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르는 분들 많습니다.


“병원에 가야 하나요?”, “지금부터 간병을 어떻게 해야 하죠?”, “복지 혜택은 뭐가 있을까요?”

이 글에서는 치매 진단을 받았을 때 바로 해야 할 일을 순서대로 정리해드릴게요.

치매걸렸을때


1. 정확한 진단부터 확인하세요

치매는 건망증과 다르게 진행성 뇌질환입니다. 반드시 병원을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해요.

  • 추천 진료과: 신경과, 정신건강의학과, 노인병 전문의
  • 검사: 뇌 MRI, 혈액검사, 인지기능검사(MMSE, CDR 등)

※ 조기 진단은 진행 속도를 늦출 수 있습니다.


2. 치매 진단 후 바로 신청할 것들

① 장기요양등급 신청 (국민건강보험공단)

  • 등급별 요양보호사, 방문 간호 서비스 이용 가능
  • 정부 지원금으로 일부 비용 보전

② 치매안심센터 등록

  • 인지훈련, 쉼터 프로그램, 가족 상담, 간호용품 지원

③ 복지카드 및 장애등록

  • 중증 치매는 장애 등록 가능 → 복지 서비스 연계 가능

3. 약물치료 + 생활관리 병행하세요

✔ 약물치료

  • 도네페질, 메만틴 등 → 인지 기능 유지
  • 전문의 처방 & 꾸준한 복용이 핵심

✔ 비약물치료

  • 퍼즐, 운동, 음악치료 등 인지 자극
  • 일정한 일상 루틴 유지가 중요

4. 가족 간 역할 분담과 감정 정리

치매는 단기간 간병으로 끝나지 않기 때문에 가족 간 협력이 필수입니다.

  • 주 보호자 정하기
  • 간병 시간표 만들기
  • 단기요양서비스 적극 활용

감정적으로 힘들다면 전문가 상담도 권장됩니다.


5. 경제적 준비도 함께하세요

  • 기저귀, 약값, 병원비 등 장기 간병비 고려
  • 장기요양보험 혜택 확인
  • 기초생활수급자, 장애등록 시 추가 지원 가능

✅ 핵심 요약

단계 해야 할 일
1단계 정확한 병원 진단
2단계 장기요양등급 신청, 치매안심센터 등록
3단계 약물치료 + 인지 훈련 병행
4단계 가족 간 역할 분담, 정서적 지지
5단계 경제적 대비 및 복지 혜택 활용

혼자 감당하지 마세요. 치매는 국가가 함께 돕는 질병입니다.
꼭 필요한 지원과 복지제도를 활용해, 부모님도 보호자도 건강한 돌봄을 시작하시길 바랍니다. 🙏

반응형